posted by POWER- 2020. 7. 3. 01:48

[명령어와 객체선택의 순서]

 

명령을 실행시킨뒤 객체를 선택하는게 기본입니다.

간혹 버릇처럼 객체를 선택한뒤 명령을 실행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객체를 먼저 선택하면 작동하지 않는 일부 기능이 존재하고, 같은 작업을 하더라도 속도가 느려집니다.

그립을 사용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명령을 먼저 실행시키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ex) 객체선택 => "move" 명령 (X) // "move" 명령 => 객체선택 (O)

 

[마우스 컨트롤]

 

1. 두 점을 이용하여 범위로 객체선택을 할 경우, 선택하는 방향에 따라 선택 옵션이 다릅니다.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선택할 경우 : 범위에 완전히 포함된 객체만 선택됩니다.

-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선택할 경우 : 범위에 걸쳐진 객체도 함께 선택됩니다.

 

2. 박스 범위가 아닌 복잡한 곡선으로 선택하고 싶을 경우

-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른채로 원하는 범위를 드레그해서 그리고 완료되면 버튼에서 손을 땝니다.

ex) 

<원하는 부분만 드레그>

 

<스트레치 한 모습>

 

[객체 선택 옵션 - 명령어를 먼저 실행한 경우]

 

1. 객체 선택 취소 "R"

- 객체 선택 중 커맨드창에 "R" 엔터 후 선택하는 객체는 선택 취소가 됩니다.

- 다시 선택모드로 돌아가려면 커맨드창에 "A" 엔터 하시면 됩니다.

- 명령어 실행전 선택시에는 쉬프트를 누른채 선택하면 선택 최소가 됩니다.

 

2. 이전 선택 객체 선택하기 "P"

- 명령어 실행 후 "P" 엔터하면 이전 명령에서 선택된 객체들이 재선택 됩니다.

 

3. 모든 객체 선택 "ALL"

- 명령어 실행 후 "ALL" 엔터하면 도면의 모든 활성화된 객체가 선택됩니다.

- 일부 객체를 제외한 모든 객체를 선택할 경우 선택 취소 "R"과 함께 많이 사용됩니다.

ex) 선택 객체를 제외한 모든 객체를 삭제 : command "erase" "all" "r" <객체 선택 후 엔터> 엔터

 

4. 마지막으로 생성된 객체 선택 "(ENTLAST)"

- 리습 함수 "(ENTLAST)"를 사용하여 마지막으로 생성된 객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ex) command "move" "(entlast)" 엔터 ...

 

[퀵셀렉트 기능]

 

커맨드 창에 "QSELECT"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1. Apply to

Entire drawing : 선택할 장소를 도면 전체로 합니다.

- Current selection : 선택할 장소를 현재 선택 세트로 합니다. (현재 선택 세트가 있을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2. 도면 전체가 아닌 일부 영역에서 선택하려면 이 버튼을 누르고 영역을 선택합니다.

선택 후 자동으로 Apply to : Current selection 상태가 됩니다.

 

3. Object type

- 어떤 타입의 객체를 선택할지 결정합니다.

 

4. Properties

- 어떤 속성으로 조건을 걸지 선택합니다.

 

5. Operator

- 4번 항목의 속성이 6번 항목의 값과 어떤 관계일때 작동할지 선택합니다.

ex) 같을 경우 : Equals, 다를 경우 : Not Equal, 초과할 경우 : Greater than, 미만일 경우 : Less than

- Select All을 선택할 경우, 속성값에 적용 받지 않습니다. (4번 항목이 무시됩니다.)

 

6. Value

- 속성의 값을 선택합니다.

 

7. How to apply

- Include in new selection set : 조건에 맞는 객체들을 선택합니다.

- Exclude from new selection set : 조건에 맞는 객체들을 제외한 객체들을 선택합니다. (선택 반전 기능)

 

8. Append to current selection set

- 체크시 기존 선택 세트에 추가됩니다.

- 체크해제시 새로운 선택 세트가 작성됩니다.

 

모든 항목을 설정 후 OK 버튼을 누르면 적용됩니다.

 

ex) 현재 도면에서 색상이 빨간색과 같은 원을 모두 선택하려고 할 경우

1 : Entire drawing (현재 도면에서 ~~~ 모두)

3 : Circle (원을)

4 : Color (색상이)

5 : Equals (같은)

6 : Red (빨간색과)

7 : Include in new selection set (선택)

 

[필터 기능]

 

커맨드 창에 "FILTER"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단축키 : "FI")

 

 

1. 현재 설정되어 있는 조건들을 리스트로 보여줍니다.

 

2. 조건을 정의합니다.

- combo box 에서 조건의 종류를 선택합니다.

- 조건의 종류에는 객체 타입, 객체 속성 등이 있습니다.

- and, or 과 같은 비교 연산자도 조건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combo box 에서 객체의 공통 속성을 선택하면 우측의 Select 버튼을 이용하여 현재 도면에서 사용되고 있는 값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ex)

<Color 속성에서 Select 버튼 클릭>

 

<Linetype 속성에서 Select 버튼 클릭>

- combo box 에서 객체의 모든 속성을 선택하면 X, Y, Z 값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입력 받을 값의 갯수만큼 text box가 활성화 되며, 아래와 같이 입력된 값과의 관계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ex) 원의 반지름을 20으로 입력했을 경우

= : 원의 반지름이 20과 같다면

!= : 원의 반지름이 20이 아니라면 (반전)

< : 원의 반지름이 20 미만이라면

<= : 원의 반지름이 20 이하라면

> : 원의 반지름이 20 초과라면

>= : 원의 반지름이 20 이상이라면

x : 원의 반지름 조건을 무시 (이 기능은 굳이 필요 없음, 원의 반지름 조건을 안걸면 됩니다.)

 

3. Add to List 

- Select Filter(2번 항목) 에 설정된 내용을 리스트에 추가합니다.

 

4. Edit Item

- 리스트에서 선택한 조건을 수정하기 위해 Select Filter로 가져옵니다.

 

5. Substitute

- Select Filter에서 수정된 조건을 리스트에 업데이트 합니다.

 

6. Add Selected Object

- 이 버튼을 클릭한뒤 어떤 객체를 선택하면 그 객체의 모든 속성이 리스트에 추가됩니다.

- 보통은 Clear List(8번 항목)을 사용하여 리스트를 비운뒤 사용합니다.

 

7. Delete 

- 리스트에서 선택한 조건을 삭제합니다.

 

8. Clear List

- 리스트를 비웁니다.

 

9. Named Filters

- 자주 사용하는 필터를 저장하여 관리합니다.

- text box에 임의의 이름을 입력하고 Save As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리스트 내용이 저장됩니다.

- Current combo box에서 저장된 필터 이름을 선택하면 현재 리스트에 반영됩니다.

- Delete Current Filter List 버튼을 클릭하면 Current combo box에서 선택된 필터가 삭제됩니다.

 

10. Apply

- 현재 리스트에 있는 조건대로 선택을 시작합니다. (버튼을 클릭하면 창이 닫히고 선택 모드로 바뀝니다.)

 

ex) 색상이 빨간색과 같고 또는 파란색과 같은 원을 선택하려고 할 경우

2 : Circle (원을)

3 : Add to List (리스트에 추가)

2 : xx Begin OR (또는 시작)

3 : Add to List (리스트에 추가)

2 : Color = 1 (색상이 빨간색과 같고)

3 : Add to List (리스트에 추가)

2 : Color = 5 (색상이 파란과 같은)

3 : Add to List (리스트에 추가)

2 : xx End OR (또는 끝)

3 : Add to List (리스트에 추가)

10 : Apply (선택)